흥부 부부상 / 박재삼
흥부 부부상 / 박재삼
흥부 부부가 박덩이를 사이 하고
가르기 전에 건넨 웃음살을 헤아려 보라.
금이 문제리,
황금 벼이삭이 문제리,
웃음의 물살이 반짝이며 정갈하던
그것이 확실히 문제다.
없는 떡방아 소리도
있는 듯이 들어 내고
손발 닳은 처지끼리
같이 웃어 비추던 거울면들아.
웃다가 서로 불쌍해
서로 구슬을 나누었으니.
그러다 금시
절로 면에 온 구슬까지를 서로 부끄리며
먼 물살이 가다가 소스라쳐 반짝이듯
서로 소스라쳐
본 웃음 물살을 지었다고 헤아려 보라.
그것은 확실히 문제다.
- 시집 <춘향이 마음>(신구문화사, 1962)
........................................................................
박재삼 시인의 첫 시집에 수록된 이 시는 가난한 삶 가운데서도 안분지족하며 그것을 웃음과 사랑으로 극복해 내는 서민들의 인간상을 '흥부 부부'에 견주어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태도가 ‘확실히 문제’라며 긍정적인 삶이 인생에서는 가장 소중한 덕목임을 오히려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가난 속에서도 서로를 이해하면서 살아온 흥부 부부를 서로의 '거울'과도 같은 존재라 하였고, 그 믿음으로 가난의 한을 사랑으로 바꿔놓았다.
실상은 가난의 고통 속에서 흥부 부부가 서로 울기도 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데, 그러한 울음은 바로 가난으로 인한 한을 가리킨다. 그러나 흥부 부부는 그 울음을 불현듯 느껴지는 서로에 대한 사랑 속에서 웃음으로 승화시킨다. 이 시가 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그 극복이다. 이를 위해서 흥부 부부의 '웃음'을 '물살'로 비유해 한의 울음도 마음먹기에 따라 웃음의 물살로 바뀔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시는 흥부전의 권선징악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주제를 변형하여 행복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 행복이란 흥부가 보답을 받아 부자가 되기 이전 가난한 때, 부부 간에 존재하던 진정한 사랑을 간직한 바로 그 때 존재한다는 것이다. 박을 타려 할 때의 순수한 웃음, 없는 떡방아 소리로 듣던 순수한 사랑, 마주보며 웃음을 나누고 또한 상대와 슬픔을 함께 하며 부끄러운 마음을 간직한 그 때가 진정 아름다운 행복이라고 시인은 설파하고 있다.
황금보다도 벼이삭보다도 더욱 소중한 것이 부부간의 진정한 사랑이며, 물욕 이전에 인간의 순수함이 진실 되고 중요한 것이라는 가치관을 보여 주고 있다. 40여 년 전의 작품이라고 해서 비현실적이거나 그 진정성이 퇴색되지는 않으리라. ‘없는 떡방아 소리도 있는 듯이 들어내고’ ‘손발 닳은 처지끼리 같이 웃어 비추던 거울’처럼 그렇게 큰 욕심 없이 살아가다보면 복이 저절로 굴러올 수도 있는 것이고, 설령 손에 잡히는 복이 없다 해도 기왕의 진정한 사랑과 행복을 얻었으니 무슨 상관이냐는 것이다.
권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