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시계

 

이서빈

 

 

겨울, 오리가 연못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저녁이면 다시 걸어 나온다.

 

연못으로 들어간 발자국과 나간 발자국으로 눈은 녹는다. 시침으로 웅덩이가 닫히고, 방수까지 되는 시간들.

 

오리는 손목이 없는 대신 뭉툭한 부리의 시간을 가지고 있어 무심한 時報를 알린다. 시침과 분침이 걸어 나간 연못은 점점 얼어간다.

 

여름 지나 가을 가는 사이 흰 날짜 표지 건널목처럼 가지런하다.

 

시계 안에 날짜 없고 시간만 있다.

 

반복하는 시차만 있다.

 

오리 날아간 날짜들, 어느 달은 28마리, 어느 달은 31마리

가끔 붉거나 푸른 자국도 있다.

 

무게가 덜 찬 몇 마리만 얼어 있는 웅덩이를 보면

손목시계보다 벗어 놓고 간 시계가 더 많을 것 같다.

 

결빙된 시간을 깨면

수 세기 전 물속에 스며있던 오차들이 꽥꽥거리며 걸어 나올 것 같다.

 

웅크렸던 깃털을 털고 꽁꽁 얼다 풀리다 할 것 같다.

 

오늘밤 웅덩이는 캄캄하고 수억 광년 연대기를 기록한 저 별들이

가득 들어있는 하늘은 누군가 잃어버린 야광시계다.

 

이서빈- 61년 영주 출생

한국방송통신대 졸

 

<당선소감>

빨간 불에서 오래 기다렸다. 겨울이 혹독하게 추울수록 봄볕의 따스함이 소중함을 아는 법이다. 그 먼 길들 위에서 지금은 날개가 없는 말도 날고 소도 날고 있다. 모두 빛나는 천지간을 건너가야 할 때이다. ‘당선이란 말 한 마디에 일어난 일들. 이제 잡고 올라갈 튼튼한 버팀목 하나 얻었다.

욕창이 생긴 등으로 나날을 뒤척이고 계시는 아버님과 간병하시는 어머님. 당선 소식에 장하다를 외치셨다. 너무 좋아 자꾸 우신다는 소리에 가슴이 저리다. 간병에 지치신 어머님도 고맙다를 연발하셨다. 과분한 사랑이다. 바람만 불어도 에미 왔나 나가보라며 성화하셨다는 말에 많이 울었다. 며느리가 가져온 음식은 뭐든 맛있다고 잘 드시는 아버님, 완쾌하셔서 봄에는 꽃보다 먼저 자리를 털고 일어나시길. 늘 말없이 지켜봐 주시는 친정 부모님께도 당선소식 전해 드린다.

오늘이 있기까지 가지치고 덩굴손을 잘라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인간이 먼저 되라 강조하신 신세훈 선생님께 고맙다는 인사드린다. 당신은 대쪽 같은 선비정신으로 시 정신을 다져주셨다. 이 나라 가난하고 힘든 시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 주셨다. 헤진 가방, 오래되고 낡은 옷이 어떤 명품보다도 더 값지게 보이는 건 아마도 선생의 삶 자체가 명품인 까닭이겠지. 제자가 된 것이 자랑스럽다. 함께 공부하는 자유문학 문예교실화요반 동료들, 나와 친한 모든 분과 이 기쁨 나누고 싶다. 온갖 투정 다 받아주고 도와준 남편이 고맙고, 두 아들 상걸, 치걸, 사랑한다.

심사위원 오세영, 장석주 선생님께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 그리고 이 시대의 모든 젊은 시인들, 어느 날 문득 돌아보니 당신들이 있었다. 그때부터 뒤돌아서 당신들을 따라 가고 있다. 꽃지게 지고 내내 신세 지겠습니다.

 

<심사평>

오세영 시인, 장석주()시인

 

이담하. 조상호. 정지윤. 성지영. 유준상. 김본희. 임수현. 문희정. 임승훈. 이인숙. 이서빈 등 열 한 분의 시가 본심에 올라왔다. 첨단과 전위는 없었다. 열린 감각, 언어 감수성, 시를 찾아내는 촉같은 시의 기본 재능을 갖춘 시들이다. 이인숙의 갈대모텔임승훈의 순종적인 남자문희정의 몽유 이후임수현의 노곡동이서빈의 오리시계를 최종 결심작으로 골랐다. 고심 끝에 이서빈의 오리시계를 선택했다. 완결미가 상대적으로 돋보였다. 발상이 천진하고 관찰력이 좋았다. 삶과 세계를 아우르는 교향交響이 있고, 특히 우주 시공을 한 점 구체적 사물로 전환시키는 마지막 연이 좋았다. 자기 시를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판단했다.

출처 : 碧波 藝術村
글쓴이 : viva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