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읍내 변두리 지역 교회 개척 안동읍 변두리 여러 지역에 전도대를 파견하여 전도 활동을 전개하여 교회를 세우게 되었다.
① 송현교회 자연 부락명이 호암인 송현동에 1924년 12월 전도 강연회 개최, 전도인 김익현 장로 파송, 1937년 초가 삼간의 기도실을 세웠고, 그 후 권선규 조사가 예배를 인도함으로 송현교회를 개척했다.
② 수상교회 (수하리 교회) 1924년 말 전도대 파견, 수하리 기도실을 설립하였으며 1934년 예배당 부지 매입,1937년 수하리 교회로, 해방 후 교회를 이전 수상 교회가 됨.
③ 이하교회 1924년 와룡면 이하동에 전도대 파견, 1929년 기도실을 짓고, 1934년 예배당을 신축함으로 이하교회로 발전함
○분가식 교회분리를 통한 교회 개척 안동읍을 몇 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분가식으로 교회를 분리하고 본 교회 교인들을 거주지에 따라 분가 시켰다.
① 안동서부교회 안동읍 서부지역인 안기동에 오랜기간 전도인을 파송 집중적 전도로 1924년 초가 6간(대지 160평)을 매입하여 기도실을 세우고, 1926년에는 교인들을 거주지 중심으로 안기천 서편 교인을 안기교회로 이명시켰고, 1932년 30평 예배당을 신축했다. 일제말엽에 안동교회로 통합되었다가 해방 후 안동서부 교회로 재 분립을 했다. ② 안동동부교회 1932년 2월 첫째주, 본 교회 교인 중 예안.대구통로 동편 거주 남 20명, 여 40명, 아동부 50명, 도합 110명을 분가식으로 선별하여, 신세동에 대지 100평, 건평 40평의 목조예배당을 건축하고 신세교회라 명명했다. 일제 말엽에 안동교회로 통합되었다가 해방 후 안동동부교회로 재 분립했다.
③ 도원교회 1950년 태화동에 함석집 6간을 매입하여 기도실을 세우고, 석호인 강도사, 이주한 장로(전도사)로 시무하게 했다. 1953년 태화 교회로 분립되고, 1965년에 도원교회로 명의 변경되었다.
④ 용상교회 일제시대에 성소병원이 지원하여 용상기도실이 설립되고, 일제 말엽 안동교회에 합병되었다가 해방 후 용상교회로 분립했다.
⑤ 안동감리교회 설립 후원 1951년 남.여 전도회가 1.4후퇴로 피난 온 서영준 감리교회 목사를 청빙하여 전도 활동을 담당하게 하고 피난 온 감리교인들과 본 교회 조상국 집사를 보내어 교회를 설립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안동 제일 감리 교회의 시작이다.
⑥ 안동성결교회 설립 후원 1953년 성결교회 십자군 전도대의 장막전도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많은 교인들이 집회에 참석토록 함으로 1954년 성결교회가 설립되니 이것이 오늘의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안동교회이다.
|
○농촌 교회 개척 ① 길안지방 1950년대에 길안지역에 청년회 전도대의 활동으로 1953년 예배당 4간과 대지 400평을 매입, 1954년에 김수만 장로를 길안지방 개척 전도사로 파송하여 길안교회가 창립되었다. 이어 금곡교회,용계교회, 송사교회를 개척 했고, 1968년 묵계교회 를 개척하였으나 예배당이 없었는데 1975년에 한국선교 90주년 기념 개척교회와 동시에 고 김수만 장로 기념교회로 예배당을 신축하고 예배당 머릿돌에「1975년, 절면서열 교회를 세운 고 김수만장로를 기념하여 이 예배당을 짓는다」라고 글을 새겼다.
② 임하지방 1955년 김 금이 전도사를 파송, 1956년 임하면 금소동에 금소교회를 설립하고, 이어 신덕교회, 임하교회를 개척했다.
③ 와룡지방 1957년 전도대의 활약으로 주하동에 주하교회를 설립하고, 이어 명잣(명계)교회를 개척했다.
④ 북후지방 1968년 이 주한 장로의 전도로 남전도회가 도와 섶밭(신전)교회가 설립되고, 1969년 서 복수 집사의 전도로 시작하여 1975 년 여전도회가 예배당을 신축함으로 오산교회를 설립했다.
⑤ 남선지방 한국 개신교 선교 100주년 기념 사업으로 1982년에 현내동에 구 동사(洞舍)를 매입하여 현내교회를 설립하고 김 상철 전도사를 파송 하였으며, 1986년에 대지 70평, 건평 45평 예배당을 신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