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아픈 사랑/ 류근
동백장 모텔에서 나와 뼈다귀 해장국집에서
소주잔에 낀 기름때 경건히 닦고 있는 내게
여자가 결심한 듯 말했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다,
라는 말 알아요? 그 유행가 가사
이제 믿기로 했어요
믿는 자에게 기쁨이 있고 천국이 있을 테지만
여자여, 너무 아픈 사랑도 세상에는 없고
사랑이 아닌 사랑도 세상에는 없는 것
다만 사랑만이 제 힘으로 사랑을 살아내는 것이어서
사랑에 어찌 앞뒤로 집을 지을 세간이 있겠느냐
택시비 받아 집에 오면서
결별의 은유로 유행가 가사나 단속 스티커처럼 붙여오면서
차창에 기대 나는 느릿느릿 혼자 중얼거렸다
그 유행가 가사,
먼 전생에 내가 쓴 유서였다는 걸 너는 모른다
- 시집『상처적 체질』(문학과지성사, 2010)
........................................................
19년 전 1996년 1월 6일, 가수 김광석이 자기 집 거실 난간에서 목을 매어달기 불과 7시간 전, 모 케이블방송에서 공연을 하였고, 그때 마지막으로 부른 노래가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이다. 당시 김광석은 가수생활 11년차였으며, 라이브콘서트 1,000회 기록을 세운 뒤였다. 그러나 그는 더 이상 음악적인 발전을 이룰 수 없다며 자괴감과 허탈감에 시달렸다. 그로인해 조울증세가 심해졌고, 급기야 충동적인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것이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살의 동기이다. 하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정확한 이유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가 마지막으로 불렀던 노래의 분위기와 연결 지어 실연의 아픔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 것이란 관측도 있긴 있다. 하지만 그는 죽은 그날에도 일을 마치고 돌아와서 아내와 다정히 맥주 4병을 나눠 마실 정도로 가정적인 문제는 별로 없는 사람이라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싱어송라이터 김광석이 곡을 붙인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은 자신이 쓴 가사가 아니라 당시 ‘류근’이란 덜 알려진 젊은 시인이 작시한 노랫말이었다. 노랫말에 배경이 있다면 그것은 김광석이 아니라 류근의 사연이었다.
너무 사랑했기 때문에 그 사랑을 부정하고 싶은 심정으로,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우기며 노래하는 모습이 애절하다. 여성 버전인 양현경의 목소리로 듣는 노래는 또 다른 느낌으로 가슴을 후벼 판다. 더 많이 사랑한 사람이 사랑의 패자가 된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우는 노랫말이다. 류근은 군 복무시절 사귀던 여자를 선배에게 빼앗긴 경험이 있다고 한다. 전방GOP근무를 하면서 아침이면 매일 ‘오늘은 죽어야지’ 결심했다가 저녁노을이 밀려오면 ‘하루만 더 살아보자’ 마음 고쳐먹기를 몇 달이나 거듭할 만큼 고통스러운 시간이었다.
이 노래에는 당시 쓰라린 실패의 기억이 고스란히 배어있고, ‘먼 전생에’ 그가 쓴 ‘유서’로 남았다. 류근은 김광석 보다 두 살 아래로 1966년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나 충청북도 충주에서 자랐다. 199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나, 이후 한 편의 작품도 발표하지 않다가 등단 18년 만에 첫 시집을 지난 2010년 펴냈다. 그는 이제 ‘너무 아픈 사랑도 세상에는 없고, 사랑이 아닌 사랑도 세상에는 없는 것’을 알 정도로 걸쭉해졌고, ‘사랑만이 제 힘으로 사랑을 살아내는 것’임을 터득할 만큼 성숙해졌다.
그 결과물로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들을 모아 2년 전 '사랑이 다시 내게 말을 거네'란 산문집도 냈다. 그 인기의 확장으로 공영방송의 한 역사 프로그램에 고정 출연하고 페이스북 스타로 군림하던 그가 요즘 페북에는 좀 뜸한 것 같다.
권순진
'김필녀의 삶과 문학 > 좋은글♡♡추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꼬마리씨 하나/ 임영조 (0) | 2015.01.21 |
---|---|
[스크랩] 길/ 정희성 (0) | 2015.01.08 |
[스크랩] 모닥불/ 백석 (0) | 2015.01.06 |
[스크랩] [2015 신춘문예 당선작] 시 (0) | 2015.01.04 |
[스크랩] 사소함에 대한 통찰-나의 수필쓰기 (0) | 201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