샛강에 서서/ 허정분


 

수수만년 누대를 흐른 강물에 눈이 내린다

눈보라치는 혹한 아랑곳없다는 듯

강물은 눈을 먹으며

촤르르, 촤르르, 제 몸에 죽비를 친다

분분한 눈발들이 적막에 길들여진 강기슭에

켜켜이 쌓이는 어스름 녘

가난을 제 부리에 묻힌 새 몇 마리가

직선과 곡선의 골격으로 허공을 받드는

아카시아 나무에서 졸고

자폭하듯 뛰어내리는 눈발들을 끌어안은 이 강물은

어느 산골짝 샛강 여울을 돌아 흘러

초경 터트리듯 저리 순결한 신음소리로 앓는 것일까

소리 벽을 치는 물살들로 깨어 있는

강바닥의 크고 작은 돌들이

제 몸의 무늬들을 선명히 마모시키며

둥글게 사는 법을 배워가는 이 강은

아직 강 밖 더러운 세상을 모른다

낙동강, 영산강, 금강, 남한강, 반도의 母川들을

한 물살로 수장시켜 죽이려는

운하인지 시궁창인지 그 음모를 모른다

다만 이렇게 깨어있는 정신으로

늘 새 물길로 흐르면서

주름 깊고 부드러운 어머니의 자궁 같은

큰 물길에 보태져서 그 젖줄에

삶의 호적을 둔 숱한 생들을 기르고

새파랗게 낯선 꿈을 날마다 흘려보낼 뿐이다

 

 

 

 

- 시집『울음소리가 희망이다』(고요아침, 2014)

.........................................................

 

 

허정분 시인은 지하철을 그저 탈 수 있는 사회적 신분을 가진 분이다. 대뜸 나이를 들먹이는 무례를 감행한 이유는 그 나이에 제도권에서 특별히 문학공부를 한 바가 없음에도 이토록 치열한 시를 쓸 수 있다는 것이 우선 놀라웠기 때문이다. 좋은 시는 시를 쓴 사람의 신분이 베일에 가려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즉, 시를 봐가지고서는 20대가 쓴 시인지 60대가 쓴 시인지 분별이 어려워야 하고, 그 시인이 남성인지 여성인지도 아리송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 시가 꼭 그러하다.

 

세상을 살아가며 직접 보고 겪고 느낀 현상과 사물을 시인이 지닌 언어의 프리즘으로 반사하는 행위가 시를 쓰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허정분 시인이 지닌 그 프리즘의 성능은 예사롭지 않다. 시인은 1996년 등단하여 두 권의 시집을 낸 바 있고, 3년 전 세 번째 시집을 낼 때 깜냥도 안되고 자격도 미달인 내게 덜컥 시집 해설을 맡겨 곤혹스럽게 한 일이 있다. 하지만 시집 원고를 읽는 내내 그야말로 읽는 재미를 만끽했던 기억이 새롭다. 시적 역량을 오롯이 드러낸 제3시집의 시편들은 대충 훑어보고 넘길 시가 단 한 편도 없었다.

 

 

시인에게 시는 그리움과 꿈이 오롯이 담긴 생의 기도이며 처방전이다. 특히 허정분 시인 자신에겐 시가 종교이며 고독과 억압을 완화하는 상설 위로역이었다. 그리하여 시를 읽는 사람들에게까지 삶을 겸허와 공경으로 받들도록 전이시키고 있다. 그만큼 시인의 시에는 인격이 고스란히 구현되어 있어 융숭 깊은 혼이 느껴진다. 삶의 방편으로만 구실하지 않고 영육이 온전히 투신되었음을 편편에서 본다. 운명의 한 순간 혹은 영혼의 한 순간을 드러내는 시와 행간에서 시인의 밀도 높은 삶을 짐작할 수 있으며 삶에 대한 시인의 진정을 읽어낼 수 있었다.

 

 

시는 시인을 닮는다고 한다. 시품은 곧 인품에서 나온다는 말도 있다. 문단에서는 사람과 시를 별개로 취급하는 관용적 분위기가 실재하고 일정 부분 동의 못할 바도 아니지만, 미성년자 성폭행혐의 등으로 구속된 한 시인이 어린 제자에게 "사회적 금기를 넘을 줄 알아야 한다. 예전부터 금기를 넘는 건 오히려 사회지도층이었다. 너도 그런 세계로 초대해 주겠다" 이따위 궤변으로 못된 짓을 일삼은 사실 앞에서는 말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사람의 등급에 따라 시의 등급도 매겨진다면 그의 시는 쓰레기인 반면에 감히 허정분의 시는 일등급이라 해도 좋으리라.

 

 

‘샛강에 서서’ 삶을 성찰하는 모습은 그에겐 일상의 포즈라 할 수 있다. 속살로 흐르는 강의 물길 위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탐구와 삶에 대한 태도가 선명하게 읽힌다. 그리고 바탕의 정신에서 환경에 대한 염려를 들을 수 있고, 서정의 울림통 안에 담긴 세계관과 시인이 지향하는 가치도 어렴풋이 감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깨어있는 정신으로 늘 새 물길로 흐르면서 주름 깊고 부드러운 어머니의 자궁 같은' 시들이다. ‘순결한 신음소리’같은 울음이 희망임을 긍휼히 받아들이면서, 그 낱낱의 소망과 희망을 담은 글들이 모여 이 시집으로 묶여 나왔다. 

 

 


권순진

 

Inner Flame - Karunesh





출처 : 마 캐는 시인, 김필녀 시인의 아정농원
글쓴이 : 김필녀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