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주부문학 제26집 출판기념회 / 171102
안동주부문학 제26집 출판기념회가
11월2일 저녁, 40여명의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로 자축하며 조촐하게 열렸다
↓ 올해 86세인 초대 김종성 회장님과 함께...^^
↓ 한해가 언제 이렇게 흘러왔을까~
미련없이 져 내리는 노란 은행잎을 바라보며 내 한 해도 다시금 돌아본다
올해는 농사짓느라 바빠서 글를 제대로 쓰지 못해 아쉬움이 크다
안동주부문학 26집에 실린 졸시 3편이다
꽃삽 / 김필녀
사각사각
땅과 마찰음을 내며
한 삽, 또 한 삽 흙을 퍼 올려
*북주기 하는 만큼
감자꽃이 피고 곳간이 채워졌다
어설프던 손놀림
장인의 경지가 되는 사이
무쇠로 된 작은 삽은
반질반질 윤이 나도록
깎이고 닳았다
한쪽이 깎여 없어지는 만큼
어느 한쪽이 채워진다는 것
뾰족하던 끝이 움푹 파인 채
묵묵히 제 갈길 걷고 있는
작은 꽃삽이
온몸으로 말한다
*북주기/식물이 넘어지지 않고 잘 자라게 하기 위하여 뿌리나 밑줄기를 흙으로 두둑하게 덮어 주는 일
백일홍
담장 높은 집
화려한 꽃밭보다는
나지막한 토담 집
소박한 화단에 어울리는 꽃
온 여름내 피고 지며
바쁜 발길 머물게 하더니
가을 문턱을 넘어선 채
화사한 모습으로 반긴다
고향집 장독대 옆에 피고 지며
한세월 어머니 마음 달래주던
그 백일홍인양
아침저녁으로 마주선 채
이순이면 알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아직도 알 수 없는 세상사
어머니 대하듯이
깊은 속내 털어놓는다
풋양대
장맛비 잠시 그친 사이
심심하던 남편이 텃밭으로 나가
목청을 높인다
가뭄에 목이 타들어가다
마른 스펀지 물 흡수하듯이 흡입하며
살을 붙여 영글어 가던 *양대
입맛 잃은 장마철
풋양대 밥이 먹고 싶었던 주인의 손에
무참하게 뽑혀 *예주룩 누워있다
머쓱해진 모습 뒤로한 채
덜 여문 납작한 꼬투리 골라내며
혼잣말처럼 중얼거렸다
“여문 포기만 골라 뽑아야지......”
강낭콩 여문 것도 모르는 농부를
진정한 농군이라 할 수 있을까
* 예주룩 / 전부다의 경상도 방언
* 양대 / 강낭콩의 경상도 방언
♬ The Poet And I (시인과 나) - FRANK MILLS ♬
'김필녀의 삶과 문학 > 김필녀의삶의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손주 초등학교 입학식 (0) | 2018.03.02 |
---|---|
평창, 강릉 일대로의 겨울여행 (0) | 2018.02.01 |
[스크랩] 안동 지역 장날의 현황과 장터 특징 (0) | 2017.02.24 |
내리사랑 (0) | 2017.01.31 |
남해, 거제 지심도 여행 (0) | 2017.01.12 |